강좌/심리학27 도량발호(跳梁跋扈), 인간의 지배심리를 보여준 사자성어! 2001년부터 전국의 대학교수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매년 올해의 사자성어를 뽑아오고 있는데요. 매년 정국과 사회상황을 빗대어 핵심을 찌르는 사자성어들이 뽑히고는 했습니다. 그럼 2024년 뽑힌 올해의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바로 '도량발호(跳梁跋扈)'라는 사자성어인데요. 오늘 포스팅은 이 도량발호의 뜻과 사례 그리고 권력의 이면에 깔린 인간의 심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도량발호(跳梁跋扈) 뜻도량발호는 제멋대로 권력을 부리며 함부로 날뛰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후한 말기의 장수 동탁이 도량발호의 모습을 보이며 나라를 어지럽힌 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인데요.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도(跳) : 뛰다량(樑) : 들보발(跋) : 밟다호(扈) : 뒤따르다도량발호는 단일 사자성어가 아니라 '도량(거리.. 2024. 12. 14. 방어기제 종류와 테스트 방어기제란 개인의 정신 내에서 갈등이 생기거나 외부환경에 의해 생긴 갈등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게 될 때 이 불안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자아가 사용하는 심리적인 기제를 말합니다. 이런 방어기제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고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은 방어기제 종류와 테스트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방어기제 종류인간은 불안을 느낄 때 이를 경감하고 자신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관되고 특징적인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그중에서 프로이트가 정리한 방어기제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억압대표적인 방어기제의 하나로 불안과 스트레스를 무의식으로 보내어 가두는 방법입니다. 이럴 경우 그 사건 자체를 기억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부정현실을 외면하거나 인정하지 못합니.. 2024. 7. 1. 워비곤 호수 효과, 내가 더 잘낫어! 한 온라인커뮤니티에서 본 글이 생각이 납니다. 인사담당 직원이 실수로 전 직원의 연봉자료를 공개해 버렸다는 이야기인데요. 연봉이 공개된 후에 회사는 초토화가 되었고 담당자는 물론 여러 직원들이 갈등으로 인해 퇴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직원의 연봉을 비밀로 다루는 기업 입장에서는 이만큼 난감한 일이 없었을 것 같은데요. 사람들은 왜 이렇게 자신과 타인의 연봉정보에 민감할까요? 사람들은 흔히 타인들은 과소평가하지만 자신은 과대평가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특성을 '워비곤 호수 효과'라고 하는데요. 오늘 포스팅은 이런 워비곤 호수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워비곤 호수 효과란?워비곤 호수는 미국의 작가 개리슨 케일러의 작품 에 등장하는 가상의 지명입니다. 이 워비곤 호수에서는 모든 남.. 2024. 6. 21. 이미지 트레이닝 효과? 습관화를 부른다! 복서 들은 쉐도우 복싱을 합니다. 자신 앞에 가상의 상대방이 있다고 상상하고 혼자 펀치를 주고받는 연습을 하는 것인데요. 이처럼 어떤 상황에 대해서 머릿속으로 충분히 상상해 보는 것을 이미지 트레이닝이라고 합니다. 어떤 큰일을 앞두고 있거나 배움에 있어 큰 학습효과를 누리고 싶을 때 이미지 트레이닝을 이용하곤 하는데요. 오늘 포스팅은 이미지 트레이닝의 효과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습관화, 어떤 일이든 곳 무뎌진다 습관의 무서운 점은 어떤 일이든지 한번 습관처럼 익숙해지면 별 어려움 없이 자동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어떤 일이든 반복해서 하게 되면 그 자극은 무뎌지고 곧 습관처럼 행할 수 있게 되는데요. 하기 싫은 일을 꾸준히 했더니 나중에는 습관처럼 굳어져 자동적으로 쉽게 해낼 수 있게 됩니다.. 2024. 2. 6. 자기충족적 예언이란? '말이 씨가 된다'라는 옛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바로 자기충족적 예언을 가장 잘 표현한 말이기도 한데요. 인간은 앞날을 상상하는 유일한 동물입니다. 그것이 긍정적인 상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인 상상일 수도 있는데요. 이런 기대와 상상들이 진짜 현실이 되어버린다면? 부정적인 상상을 하는 것보다는 긍정적인 상상을 하는 것이 훨씬 인생에 이롭지 않을까요? 오늘 포스팅 시간에는 심리학 용어, 자기충족적 예언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우리 생활에 이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까 합니다. 자기충족적 예언이란? 자기충족적 예언이란 어떤 예언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그 내용이 현실에 실제로 일어난다는 것을 말합니다. 누군가 나에게 어떤 기대를 했더니 실제로 그 기대대로 되었다는 말인데요. 앞서 포스팅한 피그말리온.. 2024. 2. 1. 안면 피드백 이론, 웃음의 효과 '웃는 얼굴에 침 못 뱉는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화가 나서 얼굴을 찌푸린 사람을 보면 덩달아 기분이 나빠지지만 활짝 웃고 있는 사람을 보면 나쁜 기분조차 풀어진다는 뜻이 담겨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은 이런 속담의 뜻이 담긴 안면 피드백 이론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안면 피드백 이론이란? 미국의 심리학자 실반 톰킨스가 주장한 이론으로 우리의 감정이 얼굴 표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얼굴을 찌푸리면 부정적인 감정이 생겨나고 활짝 미소를 지으면 긍정적인 감정이 생긴다는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감정을 얼굴 표정을 달리함으로써 조절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 수도 있는데요. 기분이 좋을 때만 웃는 게 아니라 일부러 미소를 지음으로써 기분을 좋게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분이 다운되어 있을 때 .. 2023. 11. 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