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좌/엑셀실무

엑셀 counta 함수, count와 차이까지

by 꼬막손 2024. 9. 5.

엑셀을 활용하다 보면 함수 기능을 사용할 때가 많은데요. 오늘은 엑셀 counta 함수 뜻과 사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엑셀 counta 함수

counta 함수는 범위 내에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데이터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구할 때 사용하는 함수인데요.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엑셀 counta함수

counta함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셀을 선택 후 >> [함수 삽입] 클릭

 

 

 

엑셀 counta함수

함수선택에서 [counta] 선택 >> [확인] 클릭

 

 

 

엑셀 counta함수

그다음 엑셀 데이터 시트에서 범위를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 >> [확인] 클릭

 

 

 

엑셀 counta함수

그럼 [E5:E12] 범위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 8이 결과값으로 나오게 됩니다. 즉 데이터로 채워진 셀의 개수는 8개가 되는 것입니다.

 

 

 

 

counta와 count의 차이

엑셀 counta함수

그럼 counta함수과 count함수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요? counta함수는 숫자든 문자든 특수기호이든 비어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말하며 count 함수는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를 말합니다.

 

위 사진에서 count함수 결과로는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는 7이 되지만, 만약 counta함수로 바꾼다면 결과값은 8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counta함수의 뜻과 count함수와이 차이점을 알아보았습니다. 실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다양한 엑셀 실무 예시는 아래 링크에서 더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엑셀 실무 강좌 더보기 ◀